CODE27 [JS] 로또 번호 만들기 function randomNum(min, max) { return Math.floor(Math.random()*(max-min) + min) } function LottoMake() { let numArray = [] while (numArray.length a-b) return numArray } console.log(LottoMake()) Math.random() : 0 이상 1 미만의 소수를 무작위로 보여준다 Math.floor() : 버림. 정수 자리만 남기기 위한 방법. 변수.includes() : Array 변수에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불리언으로 보여준다. 변수.push() : Array 변수에 파라미터를 추가한다. 2021. 12. 4. [JS]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 JavaScript에서 함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함수의 이름을 직접 정하는 함수 선언문과 변수에 함수를 넣어 표현하는 함수 표현식이 바로 그것이다. 함수 만들기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return x + y; } add라는 이름의 함수를 새롭게 선언하였다. 함수 표현식 let add = function(x, y){ return x + y; } 이번에는 add라는 변수에 함수(function)을 넣어 함수를 표현해보았다. 두 함수 모두 결과적으로 아래의 방식으로 동일하게 작동한다. add(3, 5) // 8 2021. 12. 1. [JS] 데이터 형, 연산, 조건문과 반복문 오늘은 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스쿨에서 JavaScript의 기초를 배운 두 번째 시간이다. 데이터 형(Type) JS의 모든 값은 7개의 데이터 타입으로 나뉜다. 그 중 6개는 원시 타입(primitive type), 나머지 하나는 객체 타입(object type)으로 분류된다. 타입명 설명 number 숫자 string 문자열 boolean 참/거짓 undefined var로 선언된 변수에 할당되는 암묵적 값 null 값이 없음을 명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값 symbol - 한편 여러 이유로 값의 형 변형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parseInt로 string으로 된 숫자를 number로 된 숫자로 바꾼다. parseInt('123', 10) // 123 혹은 부정의 부정은 긍정인 점을 이용하여, .. 2021. 11. 30. [JS] 변수 선언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1. var 우선 var은 JS 초기에 도입된 변수 선언 방식이나 현재는 쓰이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동일 변수를 여러번 재선언하면 그 때마다 다른 값을 출력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var byunsu = '천재' console.log(byunsu) // 값 = 천재 var byunsu = '바보' console.log(byunsu) // 값 = 바보 예시에서 보듯, 먼저 byunsu='천재'로 선언했는데 바로 아래에 '바보'라고 재선언했다고 바로 값을 바꿔버린다. 선언 여부와 관계 없이 유연하게 변수 선언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장점이라 볼 수 있겠지만, 코드가 길어지면 그 다음은... (아찔) 2. let var의 치명.. 2021. 11. 27. [HTML] HTML 마크업 한 눈에 보기 말이 필요없다. div 덕지덕지 하지 말고 웹 표준 잘 지켜서 마크업해보자. 2021. 11. 4. [HTML] table 구성 익숙해지기 과거에도 HTML로 표(table)을 몇 번 만들어봤지만, 할 때마다 헷갈린다. 멋사 강사님께서 친절하고 디테일하게 알려주시긴 했지만, 결국 내가 해보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표 만드는 것이 아니더라도, 코딩은 무조건 내가 해야 는다!) th th th th th td td td td td td td td td td Table Row = 로 한 줄을 묶어야 한다. , , , 을 활용하여 웹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없어도 상관은 없음) 셀 병합은 가로로 합칠 땐 colspan, 세로로 합칠 땐 rowspan을 사용한다. table에서 중요하게 챙길 것은 위의 세 가지로 요약해볼 수 있겠다. 테이블 제목 구분 도서명 가격 판매량 1 Hello 1,000 1 2 Apple 2,000 2 3 Romeo.. 2021. 11. 4. [HTML] emmet 문법으로 생산성 부스트업 하기 HTML 마크업을 하다보면 비슷한 태그를 여러개 써야 하는 수고로움이 많이 생긴다. 과거에 마크업을 할 때, 나는 항상 괄호 열고 쓰고 괄호 닫고를 노가다로 반복해왔는데 참 지루하고 성가시다고 여겼다. 그런데, 멋사 프론트엔드 스쿨을 통해서 emmet 문법으로 손쉽게 여러 태그를 만들어내면서 생산성을 '향상'하는 수준이 아니라 로켓을 단 수준으로 부스트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동안 괄호 열고 닫고 한 시간이 너무 아깝다 ^^;;; h1 h1{hello world} hello world h1+p h1{hello}*3 hello hello hello h1#one h1.one 입력할 때, emmet 문법으로 입력하고 키보드의 Tab을 누르면 자동으로 완전한 코드로 변환된다. 예컨대 'h1'을 입력하고.. 2021. 11. 2. 프로그래머스 2주차 Python def solution(scores): answer = '' myscores = [] myscoresDummy = [] for ary1 in range(len(scores[0])): ## 00, 10, 20, 30, 40 // 01, 11, 21, 31, 41 for ary2 in range(len(scores[0])): myscoresDummy.append(scores[ary2][ary1]) maxMyscores = max(myscoresDummy) minMyscores = min(myscoresDummy) if (myscoresDummy[ary1] == maxMyscores and myscoresDummy.count(maxMyscores) == 1) or (myscoresDummy[ary1] == m.. 2021. 8. 30. 프로그래머스 완주하지 못한 선수 Python 정답은 정답인데, 효율성에서 점수를 제대로 못 얻고 있다. 검색을 통해 입력된 값을 sort하면 시간 단축이 이뤄진다고 해서 시도했지만, 일부 케이스만 만족하고 모든 케이스의 효율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answer = '' for k in range(len(completion)): if completion[k] in participant: participant.remove(completion[k]) answer = participant.pop() return answer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 2021. 7. 29. 코드업 6098 성실한 개미 Python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넣은 (0,0)으로 시작하는 [x][y] 좌표의 ary를 만든다. 좌표 배열과 관련한 문제는 코딩 테스트의 단골이니, 익숙해지면 좋을 것 같다. ary = [] for i in range(10): temp=list(map(int,input().split())) ary.append(temp) x=1 y=1 ary[x][y] = 9 ## (2,2)지점에서 출발 for i in range(10): for j in range(10): if ary[i][j] == 1: ## 장애물 ary[i][j] = 1 elif ary[i][j] == 9 and ary[i][j+1] == 0: ## 우측 이동 ary[i][j+1] = 9 elif ary[i][j] == 9 and ary[i][j+1] ==.. 2021. 7. 28. 백준 2562 최댓값 Python for 함수와 append를 활용하여 간단히 여러줄의 input값을 하나의 리스트로 받을 수 있다. n = [] for i in range(1, 10): n.append(int(input())) if i < 10: continue print(max(n)) print(n.index(max(n))+1) https://www.acmicpc.net/problem/2562 2021. 7. 18. 백준 1110 더하기 사이클 Python 생각보다 많이 까다로웠다. int 형식과 str 형식을 넘나들며 자릿수를 더하고 붙이는 사이클을 만드는 코딩이었다. 겨우 정답을 만들어내고 제출된 답안 목록을 보다가 유독 짧게 완성하신 분이 있었다. 살펴보니 10으로 나눠서 십의자리와 일의자리를 분리한 것을 보고 무릎을 팍 쳤다. 이랬으면 정말 간단했을텐데! 문제를 단순히 그대로 옮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숫자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 = 0 first = input() second = first while 1: if int(second) < 10: ## 한자릿수에 0붙여 두자리 만들기 second = "0" + second else: secon.. 2021. 7. 18. 이전 1 2 3 다음